(과학지식) 우리 근처에 살고 있는 공룡

  • by


시조새와 공통점이 많은 공룡화석의 발견

6,600만년 전에 거대한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충돌로 1억 6천만년 사이에 중생대 지구를 지배하고 있던 공룡은 완전히 멸종하게 됩니다.

그런데 정말 공룡은 지구상에서 사라진 것일까? 지구의 어딘가에 공룡이 살아 있는 것일까? 공룡이 우리와 공존한다면 어떨까요?

네스호에서 발견된 괴생명체 네시와 같은 상상 속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매우 놀라운 과학적 사실을 이야기하려고합니다.

1969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존 오스트롬’ 교수는 데이노닉스라고 불리는 공룡 화석을 발견했다.

그런데 이 화석을 주의깊게 보고 있던 그는 이 공룡과 시조새가 무려 100개 이상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당시에는 시조새가 새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었다.

데이노닉스가 시조새를 닮았다는 것을 발견한 ‘존 오스트롬’ 교수는 지금의 새가 공룡에서 진화해 왔다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새들이 공룡에서 온 이 놀라운 가설은 당시 공룡학계를 흥분시키기에 충분했다.

존 교수의 발견으로 공룡의 연구는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공룡이 새의 조상이라면 공룡을 파충류로 분류하는 것이 옳은지, 또 변온 동물은 맞는지, 게다가 공룡의 교배와 양육 방식이 새와 닮지 않은지 등 다방면에서 공룡 연구에 불 붙어 있습니다.

공룡학자들은 이 시기를 가리키고 공룡 르네상스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때 공룡과 새 사이에 다양한 공통점이 밝혀지기 시작합니다.

새와 공룡의 공통점은 무엇입니까?

많은 공룡이 새처럼 2족 보행을 하고, 우스운 속에 공기를 넣을 수 있는 기낭이 발달하고, 또 새가 날개를 뒤에 젖도록 공룡의 손목 관절골도 뒤에 젖도록 에 형성된다는 사실도 분명해집니다.

공룡과 새는 골반도 비슷합니다.

공룡의 가장 큰 해부학적 특징은 골반의 구조입니다.

골반에 구멍이 나오고, 이 구멍에 허벅지 뼈가 푹 들어가는 구조, 이러한 뼈 구조를 가진 동물을 공룡이라고합니다.

익룡의 골반에는 구멍이 나와 있습니다만, 허벅지의 뼈가 끼는 곳은 구멍이 아니기 때문에 공룡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어룡은 골반 구조에 구멍이 없기 때문에 공룡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닭, 오리, 펭귄 골반은 어떻습니까? 골반에 구멍이 있고,이 구멍에 허벅지 뼈가 푹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이 새의 특징은 공룡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추가합니다.

지금 조금씩 새가 공룡이라는 사실이 믿어집니다.

그러나 문제가 하나있었습니다.

공룡에는 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없었습니다.

그 특징은 바로 깃털입니다.

새를 가장 새롭게 만드는 특징인 날개가 공룡에는 없었습니다.

공룡에 깃털이 없으면 공룡과 새가 서로 진화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까? 공룡에 깃털이 없다는 사실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고민할 무렵에 1996년 중국 북동부의 랴오닝성에서 놀라운 소식이 들립니다.

바로 깃털이 달린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것입니다.

화석의 이름은 시노사우롭 테릭스입니다.

화석을 보면 머리를 비롯해 목과 등 줄기, 꼬리까지 계속되는 원시적인 깃털이 있습니다.

그리고 시노사우롭테릭스를 비롯해 인근 지역에서 프로토알케옵텔릭스, 에피덱시프텔릭스,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베이피아 오사우루스, 코오딥 테릭스 등 수십, 수백의 깃털이 있는 공룡 화석이 주 벗겨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앞서 나온 소형 육식공룡뿐만 아니라 큰 초식공룡화석에서도 깃털이 발견되어 깃털은 돌연변이 형질이 아니라 공룡이 가지는 일반적인 특징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그렇다면 공룡은 날개가 왜 필요했는가? 많은 과학자들은 공룡의 초기 날개가 하늘을 날아 다니는 용도가 아니라 체온 보호와 쌍을 유혹하는 수단이었다고 추측합니다.

지금의 새들이 화려한 날개로 메스를 유혹하도록. 그리고 작은 육식 공룡의 일부가 날 수 있는 비대칭 깃털을 가지게 되어, 이들이 6천600만년 전의 대멸종으로 살아 남아 지금의 새가 되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즉, 공룡은 지금도 살아 있으며, 우리는 그들을 새라고 부릅니다.

도시의 애물단지 비둘기도 공룡이고, 사람들이 잘 먹은 치킨도 공룡인 것입니다.

공룡 분류 및 새 위치

그렇다면 많은 공룡 중 어디에 새들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까?

첫째, 공룡은 주로 조식 나무와 용두 나무로 나뉩니다.

아침식사는 초식공룡이 대부분이며, 대표적으로는 조각류, 각룡류, 후두류, 검룡류, 곡룡류로 나눌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스테고사우루스와 파키케파로사우로스가 있습니다.

용두는 다시 용각류와 수각류로 나뉘지만, 대표적인 용각류로는 브라키오사우루스가 있고, 수각류의 대표로는 그 이름도 유명한 티라노사우루스와 베로키라푸토르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을 종합해 보면, 수각류에 새를 넣어도 전혀 이상한 일은 없습니다.

1950년 독일 생물학자 ‘빌리 헤니히’가 만든 분기 분류법에 따르면 새는 공룡이라는 범주에 포함되어 있다.

닭, 타조, 펭귄, 독수리가 모두 공룡이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새라는 이름으로 우리 옆에는 공룡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질문이 나옵니다.

현재 있는 새의 유전자를 조작하면 공룡처럼 만들 수 있을까?

2006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의 생물학자 ‘매튜 해리스’는 가장 친절한 새인 닭을 이용하여 하나의 실험을 실시합니다.

닭 유전자를 자세히 연구한 그는 닭에 치아를 만드는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이 유전자를 재활성화하는 실험을 했지만, 그 결과, 계란의 병아리에 원추형 치아가 생겼다.

마치 작은 육식 공룡처럼. 여기서 2009년 아메리카 몬테나 대학의 ‘존 호너’ 교수는 ‘해리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닭을 이용하여 반대로 공룡을 만들려는 연구까지 계획합니다.

오늘날 살아있는 모든 새들의 몸에는 이러한 조상인 공룡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전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닭으로부터 공룡의 특징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일명 치키노사우루스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이 연구계획은 아직 성과는 없지만 현재 진행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