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そんなに死なない>책 제목에 끌려 홍영아 작가의 유튜브 강의를 보면서 끌린 듯 구입해 일주일 만에 모두 읽었다.
이 책의 저자, 플롯, 감상평을 소개하려고 한다.
작성자
홍연아 작가는 오랫동안 방송작가로 활동해 백상도 수상해 우리에게 잘 알려진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1998년~2005년까지 방영된 의학 다큐멘터리 <병원 24시>, 배우 최불암의 나레이션으로 보다 유명한 <한국인의 밥상>, 한국방송공사 다카코 프로그램 <인간극장>,
화려한 방송작가의 이력을 가지고 있는 홍작가는 2013년 자신의 죄를 속죄하는 심정으로 ‘우리는 어떻게 죽을까’라는 파노라마 제작에 참가해 처음으로 방송 제작과는 무관하게 책 “그렇게 죽지 않는다”를 집필했다.
무려 8년 걸렸다고 한다.
작가는 자신이 지금까지 방송을 위해 만나 본 죽음을 앞둔 환자를 돌본 보호자, 요양원원장, 요양병원 의사, 장례 지도사, 유골함 판매자 등을 통해 한국의 현재 장례문화, 죽음 문화를 보고 이유를 생각해 책을 집필했다.
의사, 장례 지도사처럼 죽음을 앞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을 갖고 있지 않았지만, 그런 사람들을 오랫동안 보고 왔고, 본인을 성찰해왔기 때문에 나오는 책이었다.
홍작가는 그동안 프로덕션도 설립해 자신의 책을 기반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도 제작했다고 한다.
플롯
작가는 오랫동안 베테랑 방송 작가로 일하면서 어떻게 편집을 하지 않으면 시청자에게 감동을 주어 시선을 사로잡을지 잘 알고 있었다.
병원 24시라는 리얼한 상황 다큐멘터리도 작가, 감독 제작 의도, 편집 방향에 따라 남색을 하고 나오는 프로그램이다.
그때만 해도 작가와 한국의 의료방향은 연명의료 포기, 중단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다.
홍작가는 주로 암 병동에서 투병하는 환자와 환자 가족을 밀찰 취재, 촬영해 사람들에게 많은 감동을 주었다.
암 진단을 받고 초기도 아닌 중기, 말기 환자라도 포기하지 않고 항암 치료를 받고 생활의 의지를 밝히는 그들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의 눈을 촉촉하게 하고 현재 당신의 인생에게 감사하도록 메시지를 주었다.
그렇게 ‘파이팅’을 외친 작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활 경험이 늘어나 그렇게 연명의료에 매달리는 것보다 때로는 적극적인 치료를 중단하고 죽음을 맞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가는 연명의료결정제도와 호스피스 완화의료법이 우리나라에서 오랜 시간 토론과 논쟁 끝에 입법이 되어 시행이 되어 일어난 일에 대해 들려준다.
작가는 자신의 가까운 지인이나 죽음에 대한 책을 쓴다고 알려진 이후, 만나게 된 죽어가는 가족을 돌보는 가족, 가까운 가족을 죽게 보낸 사람들, 요양병원, 요양원, 병원 에서 일어나고 있는 죽음을 둘러싼 일을 알린다.
인물별로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지점에서 계속 교차해, 인물의 이야기에 따른다.
작가는 팬의 가족이 병원과 의사에 대해 가지고 있어야 할 태도에 대해 지적합니다.
병원에 임신실이 필요한 이유와 실태, 병원이 어떻게 장례식장 사업을 하게 된 것인지, 집에서 죽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죽음을 빨리 갑자기 오는 것 같지만, 또 작년을 견디지 못해 해야 할 경우가 많은 것을 알린다.
그러니까 죽음을 준비하는 것은 결국 잘 살아가는 것이고, 죽음을 앞두고도 사회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감상평
이 책에 대한 작가의 북콘서트 강연을 듣고,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이야기를 이미 만나고 싶어서 기쁜 마음으로 곧바로 전자책을 구입했다.
작가는 시청자와 제작 스태프의 응원을 받아 고통스러운 항암 치료를 계속 받은 환자들, 환자 가족이 나중에 어떻게 된지 알고, 자신이 참가한 프로그램에 나온 환자 가족이 다른 방송사에서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나오는 것을 보면서 충격을 받아 자신이 저지른 것에 대해 속죄하는 심정으로 책을 썼다고 한다.
연명의료 중단을 스스로 미리 정할 수 있다는 것에 감명을 받아 적극적으로 지지했지만, 요양병원원장을 통해 연명의료제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악용하는 보호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무조건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작가는 알았다고 한다.
물 좋고 공기가 좋은 요양원과 도심이 가혹한 건물에 입주하고 있는 요양원 중에서, 어떤 곳이 입원 당사자에게 좋은 곳인지 물어, 작가나 많은 노인이 바라는 내가 살던 집에서 죽는 생활이 실제로 얼마나 어려워 사망신고 부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지 알고 무조건 집에서 죽는 것이 아야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한다.
죽음이 인생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며,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외치는 요양병원의 의사가, 실제의 어머니가 암에 걸렸지만, 늦게 암을 발견하게 되어, 너무 손을 쓸 수 없고 돌아가면 자신의 무지와 무감을 한탄한 이야기도 들린다.
103세에 약간의 치매의 증상을 보였지만, 혼자서 계속 생활을 계속해 온 할머니가 갑자기 원하지 않았던 요양 병원에 입원한 후, 의료 스탭을 얼마나 놀라게 해, 요양 병원에 적응해 가는 모습 을 보면서 자신의 노년과 죽음을 상상한다.
다소 이상한 상상이지만 현실이 되면 좋다.
이 책을 읽고 나의 생각을 이렇게 즐겁고 간단하게 설명해주고, 내가 알고 싶은 문제를 파헤친 작가와 손을 잡고 사문화 개선운동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곧 우리 집에서 야순이 이상 우리 부모와 어떻게 시작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