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쌀에서 발암물질 검출… 환경단체 “조속히 조사안을 마련해야 한다”
낙동강 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이수진 의원, 낙동강·영산강미 분석결과 발표
“낙동강·영산강 하류 지역 중심에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국민 음식 “적화”, 정부 민간 단체 공동 조사 요구 외면”
(현대건강신문=최수정 기자) 지난해 환경단체와 학계의 공동조사 결과 낙동강의 경우 미·배추·무에서 마이크로시스틴(MC-LR)이 검출되어 논란이 되었다.
녹조류에 포함되어 있는 남세균이 내뿜는 대표적인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은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지정한 발암물질이며 간독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이지연 교수는 마이크로시스틴 독성을 청산 갈리로 알려진 시안화칼륨보다 6,600배 높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 프랑스 등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이 생식독성까지 유발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가이드라인을 매우 엄격히 정하고 있다.
이번에는 낙동강·영산강 녹성 우심 지역 주변 논에서 구입한 쌀을 분석한 것으로 주로 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충격을 가하고 있다.
낙동강 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이수진 의원·환경운동연합(환경연합)은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누하동 환경연합에서 낙동강·영산강미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분석을 주관한 국립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은 1차 액체 크로마토그래프-텐덤 질량분석법(LC-MS/MS)으로 쌀에 축적된 마이크로시스틴 6종을 분석해 2차 효소 면역 측정법 (ELISA kit)으로 마이크로 시스틴 270 종을 종합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낙동강, 영산강 노지재배 쌀에서 녹조류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높은 검출량은 프랑스 생식독성 가이드라인의 5배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희자낙동건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은 “2년 연속 농산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며 특히 낙동간 쌀의 경우 학교급식으로 공급되는 쌀인 만큼 청소년 건강을 위해서도 더욱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전문가, 환경운동가들은 녹조독성 마이크로시스틴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위험성을 해결하지 않고 국민 건강을 방치하는 정부를 비판했다.
활동가들은 △4대강 사업에서 수로가 막히고 나서 10년을 넘은 지금까지 계속되는 녹조대 발생이 전혀 해결되지 않은 점 사회가 여러 번 공동조사를 요구해도 정부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점을 다루고 정부의 책임과 각성을 촉구했다.
한 환경운동가는 “해외 연구 사례를 통해 녹조 핀수로 경작한 농산물에 마이크로시스틴이 축적될 우려가 있음을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다”며 “2021년부터 실험 환경에서 키웠다.
농작물과 실제 유통 중인 쌀, 무, 배추 등의 국내 농작물과 수돗물, 공기중까지 미크로시스틴이 축적되어 있음을 밝히고, 환경부 총제적인 녹조조사를 제안했지만 이를 받아들였다.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