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사태로 금융계가 충격에 빠진 가운데 동사 최고경영자(CEO)가 위기 직전 자신이 보유한 회사지분을 대거 팔린 것으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 베커 CEO는 지난달 27일 모회사인 SVB 파이낸셜 주식 1만2천451주(약 360만달러·47억6천만원)를 매각했다고 보도됐다.
SVB가 채권 매각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20억 달러 이상의 주식 발행을 통해 자본 조달에 나선다는 내용의 서한을 주주에게 보낸 것을 계기로 회사 주가가 급락하기 시작했다.
지난 9일 심각하지 않은 주가 하락에 베커 CEO는 고객에게 예금이 안전하다고 진정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당일 하루만 주가가 60.41% 내렸다.
그리고 폭락사태 하루만 이날 금융당국이 SVB 폐쇄를 선언하고 파산절차를 밟게 됐다.
이에 대해 금융계는 베커 CEO의 행동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기업 최고경영자는 회사와 주주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윤리적 책임이 있다.
그러나 베커 CEO는 파산이 발표되기 직전에 자신의 지분을 매각해 이익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사건은 기업가의 윤리적 책임과 관련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내부자 거래 방지를 위한 규정이 있지만 이 규정의 냉각 기간이 너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따라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최근 직원이 지분을 매각하기 최소 3개월 전에 보고하도록 규제를 강화했다.
이번 사건은 기업의 윤리적 책임과 관련된 문제로 더욱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기업가들은 행동이 자신의 이익만을 우선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을 통해 기업의 윤리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실리콘 밸리는 매우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환경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강력한 의사결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에서는 베커 CEO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무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업의 윤리적 책임과 역할을 다시 되돌아보고 경쟁적인 환경에서도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영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린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건에서는 내부자 거래 방지 규정의 냉각 기간이 너무 짧다는 문제점도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규제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고 기업의 윤리적 책임과 역할을 재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