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정보/플롯/엔딩(스포O)

  • by


기본 정보

이 영화는 드라마 형태로 상영시간은 114분으로 2018년 11월 28일에 공개되었습니다.


평가는 8.71점으로, 375만명이 상영했습니다.


감독은 최국희 님, 주연은 김혜수, 유아인, 호준호, 조우진, 반상 카셀 님입니다.


조연은 김홍파, 엄효섭, 송영찬, 권혜효, 조한철, 류덕환, 박진주, 장성범, 정배수, 영혜란, 김현묵, 동하, 김 민산, 정규수입니다.

수상 이력

40회 청룡영화상(남우조영상)

플롯

종합금융회사 신입사원 교육을 하고 있는 윤정학, 1997년 11월 외국회사가 한국 투자금을 회수한다는 소식, 회사가 파산해 실직자가 늘어난다는 소식이 나온다.


한시현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은 총장에게 곧바로 다가오는 외환위기를 보고하고 국민에게 알리려고 하지만 재경국 차관은 국민에게 혼란만을 주면 비밀로 하려고 합니다.

윤정학은 종합금융회사를 그만두고 개인투자자를 불러 설명회를 한다.


외환위기를 경험했기 때문에 달러에 투자를 하려고 했습니다.


거의 믿지 않지만 1, 2명의 투자를 하기로 합니다.


그릇 공장을 하는 갑옷은 백화점에서 납품 제안이 들어서 기꺼이 제품을 만들기 위해 자금이 필요했던 갑옷은 종합금융회사를 찾아 어음을 담보로 대출을 받습니다.


백화점은 돈이 아닌 계산서로 물가를 계산하려고합니다.

재정국 차관은 국민에게는 은밀하게 하려고 했지만, 재벌 아들에게는 이 정보를 미리 줍니다.


한시현은 문제점을 살펴볼수록 그동안 나라가 엉망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윤정학은 지금까지 투자금을 모아 달러사재기를 한다.


그리고 주가는 떨어지고, 달러 가치는 올라가고, 총체적인 난구가 되고, 기업은 계속 부도덕하고 회사원은 자살합니다.


백화점의 부도로 어음이 휴식된 갑수는 순식간에 빚의 산으로 올라갑니다.

윤정학은 달러가치가 높아 엄청난 이익을 창출한다.


그 돈으로 부동산을 사면서 순식간에 부자가됩니다.


국가적으로는 재정국이 IMF를 신청하려고 한국은행은 반대를 합니다.


재정국 차관은 곧 부정행위를 하고 IMF에 가서 IMF총재를 은밀하게 만난다.


한시현은 이 사실을 알고 반대하지만 정부가 언론을 통제하는 바람에 알리지 못했다.


언론에서는 국민의 사치를 위해 나라가 멸망했다는 보도를 낸다.

갑수는 사기, 빚의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절망하고 자살을 시도하지만 가족을 생각하고 포기하고 여동생 한시현을 찾는다.


그동안 정보는 IMF 체제에 들어가 IMF는 경쟁력을 강조하면서 노동자의 이익을 줄이고 거대재벌 중심의 재편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한국은 양극화가 더욱 격렬해진다.

1999년까지 실업자는 178만명 발생해, 더욱 학교에서도 국민의 사치로 나라가 어려워진 가르칩니다만, 국민은 오히려 금 모임 운동으로 국가 채무를 상환해 갑니다.

20년 후 윤정학은 회장이 되어 갑수는 외국인 노동자를 학대, 채근하는 공장 사장이 되어 재정국 차관은 돈을 벌어 회사를 선택하고 재벌의 아들은 계승 한 부를 더 늘려 더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한시현은 연구소를 세우고 경제연구를 하며 정부 인사가 자문을 구하러 와 향후 국가에 또 다른 위기가 올 것임을 암시합니다.

리뷰

영화 국가 부도의 날은 20~30대가 반드시 봐야 할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정치에 무지하면 어떤 결과가 계속되고 권력과 자본을 잡은 자들은 어떻게 국민을 노예화시킬 수 있는지를 매우 잘 알 수 있는 영화이기 때문입니다.


전 국가 부도의 날을 보고 가장 애절한 부분은 바로 갑수라는 캐릭터였습니다.


인정받아 믿음 강했던 작은 중소기업의 사장이 IMF 이후 노동자에 대한 자세에서 바뀌는 모습은 IMF라는 큰 물결이 기업의 운영 마인드를 바꾸고 있으며, 현재도 그 모습이 현장의 사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 가장 유감스럽게 다가왔다.


기업이 힘들기 때문에 비정규직을 만들어 임금이 싼 외국인 노동자의 국내 취업을 정부 주도로 이뤄냈지만 항상 언론에서 보도하는 것은 3D 업종에는 한국 사람들이 취업을 지우려고 외국인 노동 사람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연일 보도하면서도 본격 IMF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대한 말에는 미래적인 태도를 보여 온 정치경제 언론의 작태는 실크영화 내 에서 재정국 차관이 그린 그림과 일치하는 것은 영화가 영화가 아닌 실화를 모티브로 했기 때문에 보다 마음에 닿는 것 같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