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유대인 중세 철학의 잡설. 질서의 공석, 개체의 긍정이 일어난다. (흥미 진진한 철학사)

  • by

로마 제국의 붕괴하고 하나의 거대한 질서가 사라진 서유럽을 생각해 보자. 하나의 거대한 질서의 소실은 곧 무질서이며, 무질서는 더 이상 하나의 거대한 중심이 자신의 주위를 모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내에서 작은 중심이 된 다수, 그 대부분은 새로운 서유럽을 만들어 간다.

서로 마제국 이후 더 이상 로마인이 중심에 있는 제국의 시대는 서유럽에 오지 않는다.

대신 서유럽 각지에 다양한 왕국이 등장해 그 무질서의 시대를 대체하여 새로운 질서를 만든다.

‘소고트족’은 서로 마제국이 사라진 이래, 이베리아 반도, 지금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정착한 게르만족이다.

그들은 5세기부터 8세기까지 이 지역에 왕국을 세웠다.

‘동고트족’은 서로 마제국이 사라진 뒤 이탈리아에 정착한 게르만족이다.

그들은 이탈리아의 라벤나를 중심으로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왕국을 유지했다.

‘반월족’은 서로 제국이 사라진 뒤 지금의 북아프리카에 왕국을 세운다.

그들은 또한 5세기 초부터 6세기 중반까지 왕국을 유지했습니다.

‘프란트족’은 지금은 프랑스와 벨기에 정착한 게르만족이다.

그들은 6세기에서 8세기까지 멜로빙어 왕조의 왕국을 유지했다.

‘앵글로 색슨족’은 서로 제국이 사라진 뒤 영국에 정착한 게르만족으로, 그들은 5세기부터 10세기까지 다양한 왕국을 세웠다.

‘롬바르드족’은 서로 제국이 사라진 뒤 이탈리아에 정착한 게르만족으로 6세기 후반부터 8세기 중반까지 왕국을 유지했다.

다양한 왕국이 있던 서유럽에 샤를 대제(Charlemagne, 747~814), 즉 카를로스 대제가 등장한다.

그는 서유럽을 지배하고 있던 몇몇 게르만족 중의 하나인 프랭크족의 왕이었다.

그러나 그는 점차 영토를 확장하고 결국 지금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의 여러 지역을 망라하는 하나의 거대한 왕국을 이루었다.

흩어진 다수의 작은 중심이 다시 하나의 중심에 묶인 것이다.

그러나 샤를르 대제의 왕국은 광대했지만 하나의 완전하게 통일된 실체는 아니었다.

그의 왕국의 일부 지역과 민족들은 다른 문화와 언어, 그리고 정체성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그 사이의 긴장과 갈등이 남아있었습니다.

그리고 샤를르 대제 후, 그의 후계자는 그의 거대한 왕국을 다시 많이 나누고, 작은 그 큰 하나는 다시 작은 많은으로 나뉘어졌다.

“사프랭크 왕국”, 지금 프랑스와 “동쪽 프랭크”, 지금 독일 그리고 “이탈리아” 지역으로 왕국은 분할되었다.

다시 서유럽 전체를 정리하는 하나의 질서, 하나의 중심은 사라진다.

서유럽은 농업생산력이 그다지 대단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지역의 권력자가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이 지배하는 지역의 잉여생산물만으로는 부족했다.

그래서 그들은 전쟁을 통한 지배 지역의 확대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그래서 제국이 되려는 이념에 얽매이게 된다.

그러나 11세기 이후 농민층을 자기토지 안에서 통제해 전쟁이 아니라 자국의 잉여생산물만으로 자신의 권력과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강력한 제국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다 . 왕을 정점으로 귀족과 농로로 이어지는 위계적 사회질서로 구성된 ‘봉건제’는 왕에게 군역을 제공하는 대가로 토지를 받았다.

그리고 그 땅은 하나의 장원이 되었고, 귀족, 즉 영주는 그 장원에서 일하는 농노를 관리하고, 그 노동의 결실을 제공받았다.

이러한 ‘봉건제’와 ‘장원제’는 과거와는 다른 세계를 가능하게 했다.

즉 굳이 제국이 되기 위해 고생할 필요가 없는 세계가 열린 것이다.

각 길이는 1개의 독립적인 단위의 작은 센터가 되었다.

최초의 장원은 자급자족경제체제를 유지했지만, 이들 잉여생산물을 서로 매매하고, 상업이 시작되고, 이는 곧 수공업을 흥, 이러한 경제적 분위는 바로 토지가 없어도 이익 을 내는 은행과 같은 금융업을 가능하게 했다.

이런 분위기에 곧바로 도시가 등장한다.

이때 도시는 과거 제국의 도시와 다르다.

제국의 도시는 전쟁에서 명령을 내리는 왕과 같은 중심지라면, 즉 명령을 내리는 곳이라면, 이때 등장한 도시는 상업의 공간이다.

사람들이 모여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것보다 조금씩 서로의 약속으로 규칙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규칙으로 조합을 만들어 다른 조합과 협력해 경쟁하는 그런 공간이다.

이러한 도시의 조합에 따라 대학이 등장한다.

서로 마제국이 사라지고 거대한 제국의 보편적인 질서는 사라졌고 마을의 작은 대성당과 수도원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가 보편성의 중심이 되었다.

로마 제국의 위생 질서는 기독교 위생 질서가 서서히 대체되었다.

거대한 제국의 대성당은 아니지만, 지방 기독교 신자들은 멀리서 성유물을 모아 자신의 대성당에 놓고 순교자의 무덤과 성유물의 공간인 대성당을 재현했습니다.

자신의 작은 대성당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을 하고 거대한 기독교라는 하나의 보편성의 일원, 즉 개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성당의 미사는 그 규모의 차이는 있어도 작은 대성당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었다.

그 성질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렇게 다른 개체적 조건 속에 있어도 보편적 조건을 모두 공유하고 있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지역의 작은 대성당은 점점 더 중심을 바꾸거나 보편성 속의 개체성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기 시작한다.

로마 제국이 나타나 프랭크 왕국의 질서도 보편의 힘을 상실했고, 곧 장군이 제국이 없는 인생을 서서히 가능하게 하면서 보편이 없는 개체를 긍정하게 되었다.

기독교라는 거대한 보편적 질서 속의 개체로서의 자신이 아니라, 단순한 개체로서 자신, 지금 여기 자신의 개체적 조건에 충실한 개체로서의 자신에게, 보다 큰 무게를 두기 시작 단지이다.

지금 교회도 보편성만을 강조할 수 없다는 오캄의 윌리엄은 이런 문맥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보편적 질서보다 개별적인 생활, 그 생활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려는 신비주의의 등장도 이런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다.

보편적인 질서인 교회 없이 하나님을 만나는 신비주의는 개인으로서 나에 대한 또 다른 긍정이다.

다음은 몽골과 흑사병과 개체에 대한 나의 긍정에 대해 다루어 보겠는가.

2023년 3월 12일

유대

대구에서 작은 철학교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부하고 싶은 분은 연락주십시오. 위안의 철학이 필요한 분, 주체성과 자기 상실로 힘든 분, 마음의 영양제로 철학이 필요한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분이나 좀 더 가까이 자신을 만나고 싶은 분과 함께 하는 철학 공부를 희망하시는 경우는 연락해 주십시오. 수강료 이상의 소중함을 체험하는 시간입니다.

스마트하게 하려는 공부보다 현명해지기 위한 공부, 사전 지식 없이 공부하면 더 큰 일을 함께 하는 그런 시간이 될 것입니다.

0i0-44i4-o262에서 「철학 공부 문의」라고 문자 앞에 주시면 확인 후 전화하겠습니다.

​​

그리고 토마스 철학 학교 자체에서 진행중인 고전 번역 총서를 후원하는 분과 작은 철학 연구 공간을 후원하고 싶은 분은 「후원 문의」라고 연락해 주세요.스폰서는 카카오뱅크 3333-16-5216149(유대야칠) 또는 국민은행 96677343443(유대야칠)에서 함께 할 수 있습니다.

토마스 철학 학교의 밴드에 가입하여 문의하십시오.

​​

자기 PR의 시대란… 이렇게 나를 소개해 봅니다.

내 책<神聖な冒険者>(수확밭, 2018)은 한겨레 신문 등에 소개되어 그 책을 가지고 KBS 라디오 방송에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이후<大韓民国哲学士>(이상북스, 2020)은 한겨레 신문, 서울신문, 교수신문 등에 이 책에 관한 그리고 내 철학하는 생활에 관한 인터뷰 기사가 소개되거나, 그 외에 조선일보, 서울신문 등 많은 신문에서 내 책 ‘대한민국 철학사’를 소개하고 소설가 장정일 작가의 서평으로 ‘시사인’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 이외는 2021년 인문사회과학추천도서에 추천되어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청년을 위한 100권의 책’ 중 인문분야 20권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19년 청주대성초등학교의 부친철학 강좌, 2019년 광주시민자유대학에서 중세철학강좌를, 2019년 경향신문 시민대학에서 중세철학을 강의하고, 이후 여전히 중세철학을 연구하고 동시에 이 시대 나 우리에게 필요한 철학을 고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마을」이란 잡지에 글을 연재하고 있으며, 「카톨릭 노동자」에도 연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햄석헌 철학에 관한 고민을<シーアルの音>를 통해 알리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더욱 격렬하게 중세의 신학과 철학을, 그리고 우리 시대를 위한 철학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2023년 토마스 철학 학교 강의의 소개입니다.

상시 수강 신청을 받습니다.

자신의 인생을 사는 현명한 주체가 되기 위한 시간!
함께 해주세요!

이하의 링크 이외의 강의가 있어, 개인적으로 독서, 철학, 집필, 마음이 담긴 철학의 지도가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ockhamtextus/222977710480

토마스 철학 학교 2023년 철학과 독서 강좌 소개(2월 수정 사항 포함)

토마스 철학 학교 2023년 강좌에 대해 토마스 철학 학교 강의는 모두 1년 상시 수강생을 받습니다.

언젠가 수강…

blog.naver.com